국립수산과학원, 멸치 자원보전을 위한 정밀 자원조사 첫 시작
- 멸치의 알과 어린 단계의 생리·생태 조사 강화 -
■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NIFS, 원장 최완현)은 우리바다에서 자원량이 가장 많고 어족자원의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멸치 자원관리를 위해 남해안 완도에서 부산에 이르는 연안해역에 분포하는 멸치의 알과 어린멸치를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해양수산부는 수산자원생물의 주요 먹이생물이 되는 멸치 자원의 현상 유지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올해부터 멸치를 자원회복프로그램* 대상종으로 지정하였다.
* 자원회복프로그램은 자원이 감소하거나 고갈되어 회복이 필요한 어종에 대한 과학적 자원조사·평가를 통해 종합적인 수산자원관리 정책을 마련하는 프로그램. ’19년도에는 19개 어종이었으나 올해에는 멸치가 추가되어 20개 어종으로 운영
* 지금까지 멸치는 자원량이 많아 자원회복대상종이 아니었으나, 최근 자원량의 감소경향이 두드러져 선제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임.
○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는 멸치 자원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그동안 모니터링 개념의 자원조사를 올해부터 종합적인 과학자원조사로 전환하여 주 산란시기인 4~8월까지 매월 수행한다.
○ 정확도 높은 자원평가와 어황예측을 위해서 완도에서 부산까지 총 29개 정점에서 멸치 알과 어린멸치의 현존량 파악 뿐만 아니라 해양환경(수온, 염분), 특히, 어미의 산란량, 연령별 자원량 및 성장단계별 먹이생물 연구 등이 종합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 남해수산연구소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 멸치는 물론 성어멸치의 자원관리와 회복권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서영상 남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장은 “수산자원의 중요한 먹이생물인 멸치의 과학적 정밀조사를 통해 멸치의 생리·생태에 관한 폭
넓은 이해와 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남해의 대표어종인 멸치자원의 정확도 높은 자원평가와 어황예측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