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급여삭감 금지 조건으로 직접 지원·대출 병행…지상조업 하청사 별도 예산으로 포괄 지원
항공사의 하청사에 대한 지원책도 내놨다. 급유·하역 등 지상조업과 기내식, 항공기 청소 관련 업체에도 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들 하청사에 대한 예산도 총 30억 달러(약 3조 원) 규모에 이른다.
AP 통신과 로이터 통신 등은 지난 14일(현지 시간) 미국 재무부가 자국 내 항공 업계 대규모 구조조정을 막기 위해 대형 항공사에 총 250억 달러를 지원한다고 전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도 같은 날 ‘항공 운송 기업 급여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성명을 내고, “아메리칸항공·사우스웨스트항공·델타항공·유나이티드항공 등 10개 항공사가 급여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해왔다”며 “다른 항공사와의 대화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므누신 장관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미국 노동자를 지원하고 항공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을 보존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항공 업계 종사자는 75만 명 수준이다.
이번 합의로 해당 기업 노동자는 오는 9월까지 고용을 보장받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설명했다. 기재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항공사와 그의 하청사에 대한 급여 지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지원금은 직원 임금과 복리후생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원금을 신청한 항공사는 오는 9월까지 직원의 해고나 급여삭감을 할 수 없으며 단체협약도 변경할 수 없다. 내년 9월까지는 배당금 지급과 자사주 매입이 제한된다.
직접 보조금 70%·저금리 대출 30%…정부 보상 장치로 신주인수권 활용
급여 지원금은 갚지 않아도 되는 직접 보조금 70%와 장기 저금리 대출 30%로 구성된다.
미국 재무부는 보상 확보 장치도 마련했다. 항공사로부터 대출 금액 10%에 해당하는 신주인수권을 받기로 했다. 신주인수권 행사 가격은 지난주 종가를 기준으로 한다. 코로나19 이후 급락한 항공사 주가가 향후 회복한 시점에서 시가보다 싼 가격에 주식을 취득해 이윤을 남길 수 있다. 아메리칸항공의 지난 9일 종가는 12.51달러다. 코로나19가 미국에 퍼지지 않았던 지난 1월 27달러 안팎을 유지하던 것에서 50% 이상 급감했다.
업계는 정부의 지분 매입 조건에 반대했던 건으로 알려졌다. AP 통신은 “항공사는 지분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지만, 재무부와의 협상에서 지렛대가 없었다”며 “그들은 필사적으로 원조를 원했다”고 전했다.
지원금 신청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아메리칸 항공이다. 아메리칸 항공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로부터 58억 달러의 재정 지원을 승인받았다”며 “이 자금은 41억 달러의 직접 보조금과 17억 달러의 저금리 대출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델타항공은 54억 달러를 지원받는다. 보조금은 38억 달러, 대출은 16억 달러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대출 16억 달러는 무담보로 만기는 10년이다. 또한, 정부에 제공하는 신주인수권은 델타항공 총 주식의 1%에 해당하며, 인수권 행사 기간은 5년이라고 보도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은 보조금 23억 달러와 대출 9억 달러 등 32억 달러를 지원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에 제공하는 주식은 약 260만 주다. 지난 9일 종가 기준(36.47달러) 9,500만 달러 규모다.
하청사를 지원 대상에 포함한 점이 눈에 띈다. 관련 가이드라인은 지원 대상을 ‘항공 운송업체와 그의 하청사’라고 규정했다. 여기서 하청사는 기내식과 항공기 청소를 비롯해 발권과 체크인, 급유, 하역 등 지상조업 관련 업체를 포괄한다. 하청사에 할당된 지원금은 총 30억 달러다.
미국 재무부가 지난주 지원 신청을 받은 업체는 230여 곳에 이른다. 대부분은 1,000만 달러 미만을 신청한 소규모 업체다. 지원금을
1억 달러 미만으로 신청한 소규모 항공사는 100% 보조금으로 지원해 상환 의무가 없다. 1억 달러 이상을 지원한 업체는 대형 항공사를
비롯해 12곳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