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나토 정상회의 ‘역사적’”…한국-나토 새 파트너십 체결 예정

러시아와 중국을 위협으로 지목한 올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막을 내린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역사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마지막 날에도 서방 국가들을 대상으로 북핵 외교전을 펼쳤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30일 나토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가 동맹을 강화하고 현재와 미래의 도전에 대응하는 ‘역사적인 회의’였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인도태평양 협력국들의 참여를 강조했습니다.

[녹취: 바이든 대통령] “We also welcomed, for the first time, our partners in the Indo-Pacific to participate in the NATO Summit. As I indicated to Putin, this would be -- his action would cause worldwide response, bringing together democratic allies and partners from the Atlantic and the Pacific to focus on the challenges that matter to our future and to defend the rules-based order against the challenges, including from China.”

바이든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협력국들이 나토 정상회의에 처음으로 참여한 것을 환영했다”며 “내가 앞서 푸틴(러시아 대통령)에게 그의 행동이 세계적인 대응을 불러올 것이라고 밝힌 바 대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서양과 태평양의 민주주의 동맹과 파트너들이 한데 모여 우리의 미래의 도전에 집중하고 중국 등의 도전으로부터 규범에 입각한 질서를 방어하는데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한 “우리는 육상, 해상, 공중, 사이버, 우주 모든 영역에서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더욱 많은 자산과 역량을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바이든 대통령] “We’ll station more ships in here, in Spain. We’re stationing more air defense in Italy and Germany; more F-35s in the U.K; and to strengthen our eastern flank, new permanent headquarters for the Army Fifth Corps in Poland.”

바이든 대통령은 “스페인에 더 많은 군함을 배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탈리아와 독일에 방공 장비를 추가 배치하고 영국에 F-35 전투기를 추가 배치하며, 동부 전선을 강화하기 위해 폴란드에 제5군단 사령부를 상시 주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제 5군단은 미 육군의 유럽 지역 작전을 관할합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30일 정상회의를 마무리 하는 기자회견에서 “올해 정상회의는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동맹의 미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결정들이 내려졌다”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 “We agreed on a fundamental shift in our deterrence and defense. We agreed to invite Finland and Sweden to join our Alliance. And we agree on long-term support for Ukraine. We agreed NATO’s new Strategic Concept.”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우리는 억지와 방위에서 근본적인 변화에 합의했고 핀란드와 스웨덴을 초대해 동맹에 참여하게 했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에 합의하고 새로운 전략개념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나토는 향후 10년간 목표를 담은 ‘전략개념’에서 사상 처음으로 중국을 직접 언급하며 “규범에 입각한 국제질서를 뒤엎으려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러시아는 나토 동맹의 안보에 “가장 중요하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규정했습니다.

아울러 방어태세를 강화해 전방에 군사 장비와 물자를 더 비축하고, 신속대응군(NFR)을 기존 4만명에서 30만명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이에 더해 동맹국의 국방비 증액 방안도 논의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29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29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한국-나토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 예정”

한국 정상으로서는 처음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30일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 면담에서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올 하반기 한국과 나토간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협력이 확대되고 나토 주재 한국 대표부 개설로 소통이 보다 제도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환영하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주요 파트너인 한국 정상의 참석은 나토 차원에서도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한국과 나토 간 협력 관계의 지속적인 강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면담에서 북핵 문제는 역내 평화, 안정과 국제 비확산 체제에 대한 중대한 위협임을 상기하며,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나토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에 한국 정부 입장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와 함께 지속적인 공조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관계의 미래 비전을 포괄하는 ‘양자 프레임워크’(Bilateral Framework for Closer Cooperation)을 채택했습니다.

정무, 공동가치, 글로벌 공공재, 무역과 번영, 국방과 안보 등 5개 분야 27개 항목에서 두 나라 협력 방향을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포괄적인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라며 “양국이 안보 통상 외에 경제안보, 첨단기술, 원자력, 기후변화와 같은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대폭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존슨 총리에게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의 지지와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존슨 총리는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지지를 나타내며 변함없는 공조 의지를 밝혔다고 한국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세 가지 목표를 기대 이상으로 달성했다”며 가치규범 연대, 신흥안보 협력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꼽았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9일 현지 브리핑에서 특히 가치규범 연대와 관련해 “이번에 초청된 한국 등 아시아 태평양 4개국은 새 인도태평양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데 그 한가운데 중국에 대한 고민과 딜레마가 섞여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한미일 정상회담을 포함해 나토 동맹국의 모든 연설에서 (중국의) 책임 있는 역할, 국제사회의 보편 타당한 가치와 규범, 합의를 존중하는 가운데 국제관계를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이 언급됐다”며 “반중 노선이라기 보다는 어떤 나라도 국제 사회에서 예외 없이 규칙과 법치를 거스르지 않는다면, 기본적인 협력 관계와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NATO 지도자들은 목요일 마드리드에서 3일간의 회의를 마무리하고 서방 안보 동맹이 러시아 침략에 대한 방어를 강화하고 중국이 제기하는 글로벌 도전에 대해 경고하며 중립국인 핀란드와 스웨덴을 그룹에 초대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역사적”이라고 표현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나토가 새로운 사명 선언문을 마지막으로 작성한 것은 12년 전”이라고 말했다.

“당시에는 러시아를 파트너로 규정하고 중국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세상이 변했고, 많이 변했고, NATO도 변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우리는 러시아가 유럽에 가하는 직접적인 위협과 중국이 규칙에 기반한 세계 질서에 가하는 시스템적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동맹을 결집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NATO에 가입할 두 명의 새로운 회원국을 초대했습니다.”라고 Biden은 말했습니다.

바이든 "가능한 한" 우크라이나 지원 약속

바이든 전 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NATO를 강화했을 뿐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그는 우리를 약화시키려 했고 우리의 결의가 무너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가 원하지 않는 것을 정확히 얻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NATO의 '핀란드화'를 원했습니다. 그는 핀란드의 '나토화'를 얻었다.”

수요일 푸틴은 서방 동맹의 임박한 확장을 일축했다.

“스웨덴과 핀란드에서는 우크라이나와 같은 문제가 없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국영 텔레비전에 말했다.

2022년 6월 29일 우크라이나 크레멘추크의 한 쇼핑센터에서 사람들이 러시아 로켓 공격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꽃을 놓고 있다.
또한보십시오:
우크라이나의 최신 개발: 7월 1일
그는 “그러나 그들은 이전에는 위협이 없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지만 지금은 군사 파병과 기반 시설이 그곳에 배치된다면 우리를 향한 위협이 생성되는 영토에 대해 현물로 대응하고 동일한 위협을 생성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확장이 시작되면서 NATO 지도자들은 유럽 전역에 병력 배치를 대폭 늘리는 데 동의했습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심각한 안보 위기"라고 표현한 동맹 회원국에 대한 모스크바의 잠재적인 군사 공격에 대해 방어하기 위해 내년부터 대륙 전역에 총 300,000명의 군인을 배치할 예정입니다. 전쟁.

2022년 6월 30일 마드리드의 IFEMA 경기장에서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국가 원수들과 함께하는 북대서양 평의회 회의의 일반적인 견해.
2022년 6월 30일 마드리드의 IFEMA 경기장에서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국가 원수들과 함께하는 북대서양 평의회 회의의 일반적인 견해.
NATO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은 폴란드에 미 제5군단의 상설 본부를 설치하고, 3,000명의 병력과 2,000명의 다른 인원으로 구성된 순환 여단을 추가하여 루마니아에 본부를 두며, F- 영국으로 가는 전투기 35대.

바이든 전 부통령은 다른 서방 지도자들의 공약을 재확인하면서 미국은 러시아의 침략에 단호하게 맞서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분쟁이 곧 끝날 것이라는 암시를 거의 하지 않았고, 미국인들이 높은 휘발유 가격을 더 오래 견뎌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시간이 걸리는 한 러시아는 실제로 우크라이나를 물리치고 우크라이나 너머로 이동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 도전

바이든 전 부통령은 이번 회담이 “대서양과 태평양의 민주적 동맹국과 파트너”를 한데 모아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무역 관행”을 포함한 중국의 도전에 맞서 규칙에 기반한 세계 질서를 수호했다고 말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지도자들은 또한 동맹의 우려 중 하나로 베이징과 모스크바 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를 언급했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주권과 안보" 문제에 대해 모스크바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는 막대한 양의 석유, 가스 및 석탄을 계속 구매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대서양 횡단 동맹 역사상 처음으로 호주, 일본, 뉴질랜드, 한국의 아시아 태평양 정상들이 회담에 참석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미르나 갈릭(Mirna Galic) 중국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 수석 정책 분석가는 강대국 갈등의 재등장, 각 지역의 전략적 경쟁자, 진화하는 러시아-중국 관계로 인해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 파트너가 함께 논의해야 하는 많은 공통 과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평화 연구소의 동아시아.

Galic은 VOA에 사이버 방어, 해양 보안 및 우주와 같은 이미 작업 중인 문제와 중거리 핵전력, 미사일 방어, 전구간 억제 및 방어와 같은 새로운 사고가 필요한 문제를 포함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국제 규범에 위배되는 강대국의 무력 사용을 저지하는 방법.

갈릭은 "마지막 문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확실히 관련이 있지만 중국, 대만과도 유사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가 유럽의 안보 문제 이상으로 여겨지는 이유"라고 말했다.

바이든은 NATO 정상회담 말미 연설에서 중국의 수조 달러 규모의 일대일로(BRI) 구상에 대한 서방의 최신 대응책도 선전했다.

그는 Group of Seven의 2021년 회의에서 발표된 "Build Back Better World" 이니셔티브를 언급하면서 "우리는 또한 Build Back Better 개념으로 시작한 것을 시작했지만 글로벌 인프라 및 투자를 위한 파트너십으로 변모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영국 콘월(Cornwall)의 리더들이었으며 이번 주 초 독일 크룬(Krün)에서 개최된 주요 선진국들의 G-7 정상 회담에서 PGII로 재출시되었습니다.

관리들은 PGII가 2027년까지 개발도상국에 6000억 달러의 기반 시설 자금을 제공할 것이며 비평가들이 "부채 덫 외교"로 특징짓는 중국의 BRI에 대한 더 나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